본문 바로가기

Case Studies

국내 화장품 브랜드샵과 버즈의 상관관계

최근 몇 년 간, 국내 화장품 업계는 브랜드샵(미샤, 더페이스샵 등)에 의해 견인되어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유명 한류 스타들이 연이어 브랜드샵의 모델로 기용되었고 미샤, 더페이스샵 등의 브랜드가 면세점에 입점하는가 하면 대한민국에서 가장 땅값이 비싸하다고 하는 자리에는 네이처 리퍼블릭이 들어서 해외 관광객들을 멈춰서게 하고 있습니다.

2013년 4월부터 2014년 12월까지의 1년 9개월간의 화장품 구입처별 버즈량을 살펴보았을 때에, 브랜드샵 제품 언급량은 다른 구입처 언급 점유율보다 압도적으로 높습니다. 2위인 멀티브랜드샵(아리따움, 보떼)와의 버즈 점유율 차이가 약 60%P에 달할 정도입니다.




이렇게 대한민국 화장품 업계를 선도하고 있는 브랜드샵이지만, 최근 출혈성 가격 경쟁으로 인한 과도한 할인과 반복적인 미투제품 출시로 인한 소비자의 관심 저하 등으로 인해 매출액은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영업이익은 매출 증가폭에 못 미치는 실적을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내 4대 브랜드샵(더페이스샵, 이니스프리, 미샤, 에뛰드하우스)의 전년 대비 매출 성장률은 2012년에는 39%에 이르렀으나, 2013년 24%, 2014년에는 9%로 급격한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13년 2분기부터 2014년 4분기까지 화장품 구입처를 언급하는 게시글의 상대 점유율을 확인했을 때에, 2013년부터 2014년말까지 브랜드샵은 다른 구입처에 비해 버즈량이 부동의 1위를 유지하고는 있지만, 2014년 4분기와 2013년 2분기를 비교 했을 때에 언급 점유율이 9%P 감소하였습니다. 반면 브랜드샵을 제외한 구입처의 언급 비중이 증가 추이를 보이고 있어, 온라인상의 소비자들의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브랜드샵에서 점차 해외 직구, 홈쇼핑과 같은 다른 구입처로 옮겨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4대 브랜드샵의 성장률 변화와 버즈량의 변화를 살펴보면 유사한 감소추이가 나타납니다. 2013년 월 평균 12,000건 정도 발생하던 4대 브랜드 관련 게시글이 2014년에는 2014년에 월 평균 약 1만건 발생하여 전년대비 1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버즈량의 감소는 브랜드샵 성장률의 감소세 보다는 완만한 추이를 보이고 있으나, 이는 온라인 상에서 각 브랜드 모델 관련 사진이나 팬싸인회와 같은 행사소식 공유 또는 할인 정보의 확산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4개 브랜드 중에서도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미샤입니다. 2002년 최초의 화장품 브랜드샵을 시작한 미샤는 2012년까지도 매출규모 1위를 지키고 있었으나 2013년 들어 더페이스샵과 이니스프리에 밀려 브랜드샵 선두주자 자리를 내어주었습니다. 특히 2014년에는 상반기에는 영업이익이 마이너스를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추이는 Koreanclick의 온라인 이용행태 데이터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요, 미샤의 브랜드 사이트인 beautynet의 UV (UV : Unique Visitor, 순 방문자수)가 경쟁 브랜드에 비해서 눈에 띄게 감소하는 추이를 보였습니다. 


다행히 2014년 3분기 들어 미샤의 영업이익이 적자 상태에서 벗어나 흑자로 전환되었으며 버즈량도 3분기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15년에도 브랜드샵 시장의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둔화된 성장세를 회복하기 위해서 브랜드샵들은 2015년에는 과도한 할인과 무차별적인 점포 확장 전쟁을 자제하고 내실을 다지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들이 매출과 영업이익의 성장을 이끌어 낼지, 그리고 이것이 온라인상에서의 활발한 소비자 반응을 이끌어 낼 수 있을지 그 귀추가 주목됩니다.

1) 브랜드 샵 : 한 회사와 가맹점 계약을 맺고 그곳에서 제공하는 제품만을 판매하는 상점으로, 점주가 여러 회사 제품을 납품받아 팔던 기존의 종합브랜드 가게와 대비되는 개념이다. 

2) 멀티브랜드 샵 : 아리따움, 보떼 등 다양한 브랜드의 제품을 한 상점에서 취급하는 것을 의미함.

3) 드러그스토어 : 외국의 경우 드러그스토어는 약국에 잡화점이 합쳐진 듯한 가게를 뜻하는데 국내에서 운영되는 드러그스토어는 약품보다는 건강ㆍ미용용품을 주로 판매해 헬스앤드뷰티(H&B)스토어 개념에 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