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ase Studies

AI(Artificial Intelligence)와 사랑에 빠질 수 있을까?

로맨스 영화의 새로운 지평을 연 <그녀(Her)>는 외로운 남자 테오도르(호아킨 피닉스)’와 인공지능 운영체제인 사만다(스칼렛 요한슨)’의 달콤쌉싸름한 사랑 이야기를 그려내 반향을 일으켰습니다. 사만다는 인공지능 운영체제로서 당신의 말에 귀를 기울이고, 당신을 이해하고, 당신을 아는 직관적 실체입니다. 영화에서 사만다는 테오도르와 소통하고 끊임없이 그의 감정을 학습함으로써 사랑이라는 감정을 배우고, 테오도르는 그런 사만다로부터 진정한 사랑을 느낍니다. 공상영화가 멀리 있는 것이 아닙니다



# 알파고-이세돌 대국으로 전 세계적 관심 최근 ‘4차산업혁명핵심 요소로 화두

[Source: KoreanClick Buzzword Data]

AI(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인간의 학습능력과 추론능력, 자연언어의 이해능력 등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실현한 기술입니다. AI가 전 세계적, 범 국민적 관심을 끌게 된 것은 바둑 인공지능 프로그램인 알파고(Alpha Go)와 이세돌 9단의 대국이 계기였습니다. 소셜미디어 상에서 알파고의 기술력에 대한 놀라움과 이세돌 9단을 응원하는 게시글이 범람했습니다. 이에 2016 3 AI 관련 버즈량은 4만 건 이상으로 급증했다가 연말 이전까지 1 ~ 15천 건 사이로 버즈량을 유지했습니다


CES 2017 전후로 AI 버즈량은 2만 건 이상으로 다시 증가하였습니다. 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IoT 제품이나 자율주행차 등이 공개되면서 미래 먹거리로서의 AI가 크게 주목 받았습니다. 최근 대선 기간 동안 ‘4차산업혁명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4차산업혁명의 핵심 요소인 AI가 함께 화두가 되었습니다. 소셜미디어 상에서 사람들은 AI에 대해 어떤 구체적인 이야기를 하고 있을까요?


[Source: KoreanClick Buzzword Data]

가장 화제성이 높은 키워드는 삼성전자(빈도수: 34,482)’였습니다. 갤럭시S8 시리즈 출시가 임박함에 따라 AI 비서 서비스가 탑재될 것인가에 대한 관심이 쏠렸습니다. 갤럭시S8 4 21일에 출시되었으나 AI 비서 빅스비의 음성인식 기능이 만족할만한 수준에 이르지 못해 공식적인 서비스 오픈이 5 1일로 지연된 바 있습니다. 이에 대한 정보와 우려가 섞인 기대에 대한 이야기가 많았습니다. 구글(26,250) 등 미국(33,504) 기업이 선도하는 AI 분야의 현황과 국내(19,353) 기업의 AI 기술 개발 현주소에 대한 기사 및 분석글이 주로 블로그를 통해 공유되었습니다. 4월 대선 열기가 뜨거워지면서 각 대선후보의 공약에 포함되었던 ‘4차산업혁명에 대한 궁금증과 관련 기술 및 AI가 상당수의 일자리를 대체할 것인가에 대한 내용이 온라인을 달구기도 했습니다.

 

현재 국내에서 한국어로 정식 서비스되고 있는 AI 스피커나 비서가 제한적이고, 해당 서비스를 직접 체험해 본 소비자 또한 얼리어답터이거나 프로모션을 통해 저렴한 가격에 체험한 경우 등으로 한정적인 수여서 온라인 후기보다는 정보나 기사 공유의 글 형태가 많습니다. 그러나 각 서비스별로 인지도 및 선호도, 관련 화제를 비교 분석하는데 큰 무리가 없어 아래에서는 국내 및 해외 AI 서비스의 출시 현황과 각 서비스의 인지도 및 선호도를 비교해 보고 관련하여 소비자들은 어떻게 얘기하고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인지도가 높은 외산 서비스, 홍보효과 누리는 국내 서비스


AI 1930 ~ 40년대부터 생각하는 기계에 대한 기대가 본격화되기 시작했습니다. 튜링테스트가 개발되고, 수리논리학이나 컴퓨테이션, 사이버네틱스(인공두뇌학), 정보 이론 등 인간의 사고 과정에 대한 이론들이 등장했습니다. 1997 5 IBM의 슈퍼컴퓨터 딥 블루(Deep Blue)’가 여러 번의 도전 끝에 당시 체스 세계챔피언이었던 게리 카스파로프(Gary Kasparov)를 물리치면서 다시 주목 받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2011 2월에는 IBM왓슨(Watson)’이 미국의 유명 퀴즈쇼 <제퍼디(Jeopardy)!>에서 두 명의 참가자들을 누르고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세계는 기계가 인간을 이겼다는 사실에 놀랐고, 이에 따라 IBM 등이 주도하는 AI 개발에 대한 관심도 다시 크게 높아졌습니다. 우리 생활 속에 가장 가까이 있는 음성인식 비서 서비스 시리(Siri)’를 탑재한 아이폰과 아이패드가 2011년에 출시되어 큰 반향을 일으켰습니다. 이후 세계적인 기업 구글과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등이 인공지능 스피커와 비서 서비스 등을 시장에 선보이기 시작했습니다.

 

국내의 경우 2016 9 SKT가 인공지능 스피커 누구(NUGU)’를 출시했습니다. 이어 KT에서 셋톱박스와 스피커의 결합 형태인 기가 지나(GiGA Genie)’가 시장에 선보였습니다. 2017 3월에는 LG전자의 신형 스마트폰 G6에 구글 음성인식 기반 비서 구글 어시스턴트(Google Assistant)’가 탑재되었으나 아직 한국어를 지원하지 않아 아쉬움을 남겼습니다. 삼성전자의 갤럭시S8 시리즈 역시 AI 비서 빅스비를 탑재했으며 출시 후 약 열흘이 지난 5 1일 공식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포털 서비스업체인 네이버와 카카오도 AI 서비스 개발 및 출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네이버는 얼마 전 AI 플랫폼인 클로바(Clova)’ 베타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카카오는 지난 3 AI R&D 전문조직인 카카오 브레인을 설립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처럼 국내 AI 서비스는 통신·전자·포털기업이 주도하고 있습니다.

 

국내 소비자들은 주요 AI 서비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요?


[Source: KoreanClick Buzzword Data]

애플, 아마존, IBM과 같은 AI 분야를 선도하는 해외 기업이 인지도가 높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 중 가장 인지도가 높은 것은 가장 널리 쓰이고 친숙한 애플의 시리입니다. 이어서 최초의 인공지능 스피커인 아마존 에코의 인지도가 높았습니다. 반면 SKT누구와 삼성전자 빅스비는 광고 및 PR, 프로모션 관련 게시글의 영향으로 비교적 높은 선호도를 보였습니다. 결과에 대한 내용은 연관 화제 키워드 분석에 드러나 있습니다


[Source: KoreanClick Buzzword Data]

SKT ‘누구의 경우 음악서비스 멜론이 연계되어 있어 음악이나 팟캐스트를 듣기에 괜찮은 스피커라는 평이 많습니다. 그러나 인공지능이라고 부르기에 아직 미흡한 음성인식 수준이며, 킬러 콘텐츠가 부족하다는 비판이 있습니다. KT  ‘기가 지니는 생각보다 또박또박 음성인식을 하며 TV 조작이 편리하다란 호평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인 성 역할관에 고착된 TV광고 스토리라인과 세계 최초 인공지능 TV’가 허위·과장광고 논란이 일면서 비난을 받았습니다. 삼성전자 빅스비는 정식 출시되기 전이라 기대와 우려를 동시에 받았는데요, 빅스비 전용버튼이 새로 생긴 데 대한 논란과 빅스비를 쓰지 않고 전용버튼과 다른 기능을 매핑하여 사용하는 법이 공유되기도 했습니다.

 

IBM왓슨의 경우 국내에서는 의료분야에서 암 진단을 하는데 활발히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애플 시리는 이미 생활 속에 자리 잡아 황당하게 시리가 반응한 경우나 시리의 맹랑한 대답을 이야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현재 가장 많은 언어를 지원하는 서비스이며 향후 업그레이드 계획을 밝힌 바 있어 이에 대한 기대도 보입니다. 아마존 에코는 직구를 통해 사용해 본 얼리어답터가 제법 눈에 띄였습니다. 홍콩 시간대로 시간설정을 변경하고 영어로 대화해야 하는 점 등이 불편해 미국 내에서 유용한 서비스란 평이 지배적입니다만, 열정적인 얼리어답터들은 다른 기기들과 연결하여 직접 가정 내 사물인터넷을 구현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한편 IT기술에 관심 많은 소비자들이 MS ‘코타나와 구글 어시스턴트의 한국어 지원 및 국내 공식 서비스를 열렬히 기대하고 있는 모습도 살펴볼 수 있었습니다


# 아직은 시장 초기 단계 글로벌 시장 선도와 스타트업 육성이 관건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국내외 대기업들이 앞다투어 AI 기술개발 및 관련 기업 인수에 열을 올리고 있으나 상용화된 부분이 제한적이며 시장 초기 단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직 오류율이 높고 다른 앱, 서비스, 기기와의 연동부분이 미흡하여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평이 지배적입니다. 이미 AI 분야에 뛰어든 기업들은 시장 선점을 통한 규모의 데이터 확보, API 공개를 통한 기능 추가 및 연동 확대 등으로 글로벌 기업, 특히 미국, 일본, 중국 기업과의 경쟁에서 밀리지 않도록 만전을 기해야 할 것입니다. 또 정부 차원에서 AI 등 관련 스타트업 육성을 통하여 기술경쟁력 확보와 생태계 확대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습니다.

 

AI와 사랑에 빠지는 공상영화는 먼 미래의, 허무맹랑한 이야기가 아닙니다. 바로 눈 앞에서 벌어지고 있는 이야기입니다